반응형
1. VIX 지수(공포지수)
Vix 지수는 변동지수로 이 지수가 높을수록 주가 변동이 큽니다. 보통 주가가 폭락 한다고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20~30 평균 수준이고,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3월 코로나 사태일때 지수가 최고 80 까지 오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40~45 과열구간으로 생각하구 매수 또는 매도로 대응 합니다.
구글에서 VIX를 검색 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인베스팅 닷컴에서도 가능합니다.
2.공포와 탐욕지수 Fear&Greed index 입니다.
투자자들의 공포와 낙관을 나타낸 지표로 0은 극단적인 공포, 100은 극단적 낙관을 의미합니다.
20미만에 매수, 80이상 매도 타이밍으로 결정하시면 됩니다.
Fear&Greed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money.cnn.com/data/fear-and-greed/
참고로 아래 Fear&Greed 7가지 지표로 구성 되어 진다.
공포와 탐욕 지수를 구성하는 7개의 지표는 다음과 같다.
◎ Market Momentum(시장의 모멘텀)
S&P500 and its 125-day moving average (S&P500 지수의 125일 이동평균선 이격도)
◎ Stock Price Strength(주가 강도)
Net new 52-week highs and lows on the NYSE (뉴욕증권거래소 52주 신고가와 신저가의 주식수를 기준으로 계산)
◎ Stock Price Breadth(주가폭)
McClellan Volume Summation Index (뉴욕증권거래소의 하락 종목 거래량 대비 상승 종목 거래량을 측정한 지표. VR지표와 비슷)
◎ Put and Call Options(풋·콜옵션)
CBOE 5-Day Average Put/Call Ratio (5일 동안의 풋/콜옵션 비율)
◎ Junk Bond Demand(정크본드 수요)
Yield Spread : Junk bonds vs. investment grade (투자적격등급과 투기등급 채권간의 수익률 스프레드)
◎ Market Volatility(시장변동성)
VIX and its 50-day moving average (VIX 지수의 50일 이동평균선 이격도)
◎ Safe Haven Demand(안전한 투자처 수요)
Difference in 20-day stock and bond returns (20일 동안의 국채 대비 주가 수익률의 차이)
3.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 금리
- 달러 인덱스
- 유가
- 기대인플레이션
- 10년 만기 국채 수익율
- VIX (주가 변동지수)
- CPI (소비자 물가 지수)
- Fear & Greed 공포 탐욕 지수
반응형
'종목정보 및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확인-10년 만기 국채 수익율 보는법 (2) | 2020.11.19 |
---|---|
내 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확인-금리 (0) | 2020.11.16 |
내 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확인-달러편 (0) | 2020.10.31 |
바이든 수혜주 클린/신재생 에너지 (0) | 2020.10.18 |
이마트 주가 전망 및 애널리스트 보고서 (0) | 202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