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러 인덱스 활용
달러 인덱스는 100이상 일 때, 달러강세, 100 이하 일때 달러약세로 쉽게 이헤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달러 인덱스 상승의 요인으로 경기침체, 유로화 가치 하락, 미국의 금리인상, 부동산 가격 상승이 원인 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달러 인덱스 하락의 요인으로, 미국 경상수지 적자로 다른 나라로 달러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 경기부양을 위해 달러를 많이 찍어 내게 되게 경우, 유로화 강세시 상대적인 달러 가치가 떨어 지게 됩니다.
갑작스러운 달러 인덱스 상승과 하락은 주가 급락의 원인이 되며, 강세든 약세된 오래 지속된다면 이 또한 주가 하락에 영향이 될 수 있습니다.
2020년은 세계경제 침체 및 코로나로 인해, 경제에 대한 불안감으로 달러강세가 유지가 되기도 했고, 코로나 및 경제 침제 해결을 위해 달러를 풀게 됨에 따 달러 약세가 유지 되기도 했습니다.
보통 달러인덱스 상승시, 주식 하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020년 10월 달러는 약세, 위안화는 절상을 유도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친중 국가와 연대를 통한 경제성장과 내수를 통한 경제성장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더 큰 도약을 위해, 중국기업 성장을 위하여 자본 시작을 개방하고 있습니다. 중국으로 돈이 들어 가는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 위안화를 절상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위안화 절상시, 위안화 가치가 높아, 달러 환전시 시세 차익이 발생하여, 중국으로 더더욱 자금이 유입 되는 상황입니다.
미국은 현재 달러를 풀어, 경제를 부양하고, 향후 미국 달러 가치를 높여, 약세 때 빌린돈을 낮은 가격을 빚을 갚을 거란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2. 달러인덱스란 ?
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경제 규모가 크거나 통화가치가 안정적인 6개국 통화를 기준으로 산정한 미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
달러인덱스가 상승하면 미 달러 가치가 오른다는 뜻이다.
특정시점 달러 인덱스가 82.439라면 주요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 가치가 1973년 3월보다 18%가량 떨어졌다는 뜻이다.
달러 인덱스가 오르면 미국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고, 주식시장과 함께 상품시장 등은 대체로 약세를 띤다. 2020년 3월 코로나로 주식장이 폭락 할 때, 달러 지수는 103으로 100을 기준으로 할때 달러 강세가 뚜렸하였습니다.
3.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 금리
- 달러 인덱스
- 유가
- 기대인플레이션
- 10년 만기 국채 수익율
- VIX (주가 변동지수)
- CPI (소비자 물가 지수)
- Fear & Greed 공포 탐욕 지수
'종목정보 및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확인-금리 (0) | 2020.11.16 |
---|---|
내 주식을 지키기 위한 주요 지표 확인- VIX, Fear&Greed 지수 (0) | 2020.11.10 |
바이든 수혜주 클린/신재생 에너지 (0) | 2020.10.18 |
이마트 주가 전망 및 애널리스트 보고서 (0) | 2020.10.13 |
현대위아 주가전망 (1)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