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정보 및 분석

테이퍼링이후 금리인상,시중에 돈을 줄이기 때문에 주가하락 및 섹터 변경 대응 필요!!

종목이 2021. 1. 14. 12:17
반응형

FED 테이퍼링 메시지


미국 FED(중앙은행)에서, 양적완화를 줄이는 테이퍼링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고 합니다.
-2020년12월16일 FOMC 의사록에 테이퍼링에 대한 기록

양적완화는 FED가 시중에 국채 및 금융자산을 매입하여,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는 것인데요.
양적완화를 줄이는 것이 테이퍼링 입니다. 테이퍼링 후 금리 인상을 진행합니다.

최근, 돈을 많이 풀기도 했고, 바이든 정부에서 재정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치기 때문에 더 많은 돈이 풀려,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 할 수 있어, FED가 테이퍼링에 대한 시그널을 시중에 보냈다는 것입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높은 물가로 국민생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관리 하고자, 시중에 돈을 회수하고, 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중에 돈이 줄어 들고, 돈에 가치가 높아져 주식은 떨어 집니다. 그래서 대응이 필요하고, 과거 테이퍼링 시행을 어떻게 했고, 또 높은 인플레이션은 아니여도 인플레이션이 예상되어 그에 따른 주도주가 바뀔수 있습니다.

1.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양적완화 이후 테이퍼링 진행 상황

①제로금리 ②양적완화(2009년 1차,2011년 2차, 2012 3차) ③테이퍼링(2014,1월 시작(9개월간)
④양적완화 종료(2014년12월 양적완화 종료) ⑤금리인상(2015년 12월, 금리 0.25 % 인상)


갑작스럽게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금리 인상을 하지 않고, 시장이 대응 할 수 있도록 점전적으로 진행 합니다. 
테이퍼링 시작 2014년1월 ~ 금리인상은 2015년 12월, 2년 정도 시간이 소요 되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때 보다, 양적완화 규뮤가 커 기간은 1년 정도 걸릴 것으로 추정하고,
2021년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이 되면, 2022년 부터 1년 테이퍼링을 한다면, 빠르면 2023년 부터 금리 인상이 된다는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FED가 테이퍼링 선언을 한 시점 부터 주가가 상승을 멈추고, 하락으로 접어 들게 됩니다.


2.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가 오르면 기업의 이익이 늘어 나는 음식료 또는 원자재 주식이 올를 수 있습니다.
경기가 활성화 되서, 물가가 오르고, 농산물도 오르고, 재료가 오르니 식품 가격이 오르고, 그러다가 재료가 내리면, 식품 가격이 내리지 않고 그대로 가격유지 하여 마진 창출을 합니다.
식품 및 농산물 뿐만 아니라, 원자재, 화학 쪽도 가격이 오르면 그걸 이용해 마진을 높입니다.
 예) CJ제일제당,농산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