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정보 및 분석

유동성 장세 VS 실무경기 침체, 주가폭락 대비를 위한 중요 지표 체크

종목이 2020. 12. 14. 16:45
반응형

유동성 장세 VS 실무경기 침체, 주가폭락 대비를 위한 지표 체크

1.앞으로 주식이 오른다는 이유는, 양적완화와 재정정책으로 풀린 돈으로 주식이 당분간 올라 갈 수 밖에 없고, 
  4차 산업으로 산업이 변화하기 때문에 성장에 대한 기대로 앞으로 주식이 오른다고 합니다. 
예)내연기관에서 전기차, 기존 에너지 에서 태양광, 풍력, 수소 에너지로 바뀌면서 엄청난 성장 시장이 있다는 것입니다.

2.반대로,유동성 장세는 결국, 돈으로 올린 주식으로 거품이니, 꺼진다는 것입니다. 
주식 상승을 주도한 빅테크, 대형주들은 실적이 올라, 거품이 아니다 라고 이야기 하지만, 
결국, 중소기업, 서민 경제는 어려운 상황이고, 미국 대공황 때 처럼, 소비할 사람이 돈이 없어, 
서민 경제 파탄에서 시작되어 중소기업 부도, 은행 부실, 대형기업 등으로 이어져 경제 위기가 찾아 온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국에 실업자가 증가하고, 대출 및 임대 연체율이 계속 증가 한다면, 서민 경제가 무너지기 때문에
FED나 재정정책에서 이 부분을 상당히 신경 쓰고 있습니다. 바이든 정책도 재정정책을 통하여 서민에게 소비할, 지탱할 자금을 푸는 것이고, 독점하는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제재 및 법인세 상승을 예고 하고, 중소기업 장려하는 정책을 펼치고자 합니다.


결국, 주가가 올라가는 것은 경기침체로 돈을 풀어서 거품이 만들어 진것이고, 어려운 경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빅테크 기업의 실적이 좋아져, 주가가 올라 가고 있지만, 그로 인하여,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발생해 중소 기업 붕괴 및 서민 경제 파탄으로 결국, 모두가 죽는 상황으로 갈 수 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잘 알고 있기에, 미 정부의 정책과 미국 상황을 예의주시 하면서 주식 매도, 매수 타이밍을 잡아야 할것 같습니다.

아래는 미국의 시민 경제 상황을 잘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모기지 대출 연체율 입니다. 현재, 미국은 주택 대출을 못 갚아 계속 연체가 되는 상황이고, 정부에서 당장 내지 않아도 유예해 주는 프로그램을 실시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은행도 받아야할 대출 못 받으면, 은행도 무너 질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도 있는 상황 입니다.

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mba-delinquency-rates-484

 

미국 모기지은행협회 모기지연체율 <전분기 대비>

모기지은행협회 모기지연체율 (QoQ)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initial-jobless-claims-294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입니다. 실업자수당 청구건수가 늘어 나면 날 수록, 서민 경제가 나빠 지는 것입니다.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같은 주요 경제 이벤트 및 글로벌 마켓에 미치는 그 영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kr.investing.com

저는 저 지표 알람 설정을 해 놓았습니다. 이런 지표들은 일일이 찾아 보기 힘든 상황이 올수 있어, 알람설정이 좋을것 같습니다.  

알림설정하기

인베스팅에서는 캘린더 형태로 제공해서, 개인적으로 구글에서  모기지연체율, 실업수당청구 등 키워드로 검색해서 들어 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