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정보 및 분석

트럼프,머스크 싸움에 비트코인 하락후 전망

종목이 2025. 6. 8. 14:21
반응형

갈등 배경 및 주요 발언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의 갈등은 미국 의회의 대규모 지출 법안(일명 “Big, Beautiful Bill”)을 둘러싼 논쟁에서 시작됐다. 머스크는 해당 법안을 두고 “돼지(pork)가 가득한 역겨운 참상”이라고 비판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격분해 SNS(X)에서 머스크를 “미친 듯이 날뛰는(TRUMP DERANGEMENT SYNDROME에 걸린)” 인물로 몰아붙이고 머스크가 이끄는 기업들에 대한 정부 보조금·계약을 전면 중단하겠다며 강도 높은 경고를 날렸다. 특히 트럼프는 6월 7일 NBC 인터뷰에서 머스크가 민주당 후보를 지원할 경우 “매우 심각한 결과(serious consequences)”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노골적인 충돌 속에 머스크 역시 트럼프를 일론 엡스타인 사건에 연루됐다고 공격하고(“Trump is implicated in Epstein files”), SpaceX의 Dragon 우주선 감축 계획을 암시하는 등 강력히 맞받아쳤다.

시장 반응 및 가격 변동성

머스크-트럼프 갈등 뉴스가 퍼지자 암호화폐 시장은 즉각 요동쳤다. 6월 5일 비트코인은 약 4% 하락해 $105,000대에서 $100,500까지 내려갔으며,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5.1%가량 급감하면서 24시간 기준 약 10억 달러 규모의 롱 포지션이 청산되었다. 같은 기간 이더리움(ETH)과 도지코인(DOGE) 등 주요 알트코인도 각각 7% 전후의 낙폭을 보였다. 또한 미국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는 6월 5일 하루 동안 2.78억 달러의 자금이 순유출되어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암호화폐 공포탐욕지수는 ‘탐욕’에서 ‘공포’ 단계로 급격히 전환됐다. 이 외에도 테슬라 주가가 하루에만 14% 하락하는 등 비트코인 외 시장에서도 불안이 확산됐다.

비트코인 가격: 6월 5일 전후로 $105K 부근에서 $100K 초반까지 급락했다. 이후 6월 7일에는 $105K 선을 다시 회복하며 저지선(약 $104,800)이 유지됐다.

암호화폐 시장 전반: CoinGecko 20지수는 5%대 하락, 이더리움·솔라나 등 주요 코인 5~8% 하락했다. 시장 전체로는 24시간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했으며, 변동성 지표(VIX 등)도 상승했다.

청산 규모: 코인글래스 집계로 24시간 롱 포지션 3.08억 달러 이상이 청산되었고, CoinTelegraph 기준으로는 24시간 총 청산 규모가 9.82억 달러(롱 8.92억, 숏 0.9억)로 집계됐다.

투자자 이동: 비트코인 하락 시 안정성을 선호하는 움직임도 나타나, USDT·USDC 등 스테이블코인 가격은 소폭 상승했다(예: 테더·USDC 약 +0.65%).


투자자 심리 변화

머스크-트럼프 충돌 소식이 전해지자 암호화폐 시장의 심리지표는 급속히 위축됐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ETF 순유출과 함께 Crypto Fear & Greed Index는 탐욕 단계에서 순식간에 공포 단계로 전환됐다. 이 기간 소셜미디어에서도 양측에 대한 언급량이 급증했는데, 암호화폐 분석업체 Santiment은 트럼프 언급량이 +5.6%, 머스크는 +6.3% 급등했다고 전한다. 초기 공황 매도가 정점을 찍은 시점이 단기 바닥을 형성하는 ‘buy the panic’ 국면이 되기도 했다. Santiment은 “머스크-트럼프 이슈가 불거진 순간이 시장 저점을 찍는 전환점이 됐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투자자들은 단기 급락 이후 저가 매수에 나서는 양상을 보였고, 일부 분석가들은 이번 급락을 매수 기회로 해석하기도 했다.

언론·전문가 분석

전문가들은 이번 갈등이 촉발한 불안요인과 비트코인의 역할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에 따르면 코인텔레그래프는 “트럼프-머스크 갈등이 심화되면서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 압력이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코인데스크 또한 무역 관세 불확실성이 비트코인 변동성을 일부 높인다고 지적하면서도, “BTC는 다른 디지털 자산보다 변동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Glassnode의 시장 노트도 “장기 보유자의 매도 압력이 누적되면서 단기 조정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비트코인을 제도적 불안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코인데스크 분석에 따르면, 두 인물의 충돌 속에서도 비트코인이 $105K 선을 지켜낸 것은 “비트코인이 제도권 혼란에 대한 헤지 수단이나 정파적 정치에서 상대적으로 독립된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증거다. BeinCrypto 역시 “일부 전문가는 지속적 갈등이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를 촉발할 수 있다”고 보는데, 특히 비트코인의 **검열 저항성(censorship-resistant)**이 장기적 강점으로 부각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월가 분석가들은 제도권의 높은 재정 적자와 통화 팽창 우려가 비트코인 매력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한다. Morningstar에 따르면 WisdomTree의 실렌스키트는 “지속적인 재정 압박은 비트코인을 통화 불안정성과 국가신용 위험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서의 매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중앙은행 완화 기조 속에서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금과 같은 대안 자산으로 편입하는 추세와도 맞닿아 있다.

향후 전망

머스크와 트럼프의 정치적 대립이 계속되면 단기적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트럼프가 거론한 보조금·계약 중단, 심지어 머스크 자산 동결 가능성 등 극단적 대응은 당장 비트코인 시장에도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여지가 크다. 실제로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트럼프가 머스크의 법정화폐 자산을 동결하기 전에 비트코인으로 전환하라”는 조언까지 나올 만큼 긴장감이 고조된 상태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이번 사태가 비트코인에 긍정적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정치·경제 불안이 심화될수록 비트코인을 대안적 가치 저장 수단(“디지털 금”)으로 인식하는 투자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Silenskyte가 지적했듯이,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환경에서 BTC는 “화폐 가치를 잠식하는 통화 정책에 대한 헤지”로서의 매력을 키워왔다.
따라서 정치·사회적 갈등이 지속된다면 일부 투자자는 비트코인을 위험 회피 자산으로 더 주목할 수 있으며, 이것이 가격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규제나 정치적 탄압 위험도 상존한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랠리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나, 비트코인이 궁극적으로 12만~15만 달러대 수준에 도달할 확률을 높게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머스크-트럼프 갈등은 단기적으로는 혼란과 변동성을 부추겼으나,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관심과 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향후 성장 모멘텀을 제공할 수도 있다.

출처: 본 보고서의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CoinDesk, CoinTelegraph, Santiment, BeinCrypto, BusinessPost 등 업계 전문 매체 및 금융 분석 기관의 보도와 시장 리서치 자료를 중심으로 참고하였다.

‐---‐---------‐---------
비트코인 피보나치 분석

비트코인(BTC/KRW)의 일봉 차트를 기준으로 피보나치 분석차트를 보면 최근 상승 및 하락 구간이 명확히 보입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

✅ 1. 분석 기준 설정

저점: 약 2025년 3월 중순경, 약 118,000,000원

고점: 약 2025년 5월 중순경, 약 151,000,000원



---

✅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 계산

고점(151,000,000원)과 저점(118,000,000원)을 기준으로 피보나치 되돌림 레벨은 다음과 같습니다:

레벨 (%) / 가격 (KRW) /설명

0.0% /151,000,000 /고점
23.6% /142,432,000/ 약한 조정 가능 구간
38.2% /137,296,000/ 보통 조정 구간
50.0% /134,500,000/ 중간 지지/저항 구간
61.8% /131,704,000 /강한 지지 구간 가능성
78.6% /127,332,000 /깊은 조정, 반등 가능 구간
100.0%/ 118,000,000 /저점



---

✅ 현재 상황 분석 (가격: 약 145,891,000원)

현재 가격은 23.6% 레벨(142,432,000) 위에 위치함.

단기 조정 후 재상승을 시도할 가능성 있으나, 만약 하락세가 지속되면 138~134만 원 구간(38.2%~50%)에서 반등을 노릴 수 있음.



---

✅ 기술 지표 요약 (차트 하단)

RSI: 50 근처, 중립적이지만 하락세

Stochastic: 하락 방향, 아직 과매도 구간은 아님

MACD: 데드크로스 발생, 하락 전환 신호 → 단기 하락 압력 있음



---

✅ 요약 전략

매수 대기 구간: 137만 ~ 134만 원 (38.2~50%)

중기 지지선: 131만 원 (61.8%) 또는 127만 원 (78.6%)

상방 목표: 고점인 151만 원 돌파 시, 추가 상승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