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대한 중국의 도전으로 시작된 패권 전쟁은 오바마 때 부터 시작 되었습니다.
리먼부라더스 사태을 지켜본 중국은 미국의 취약성 보게 되었고, 그동안 숨겨온 발톱을 드러 내면서,
중국에 대한 견제가 시작 되었습니다.
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주도권 빼앗기지 않도록, 미국은 중국이 첨단 반도체 생산에 꼭 필요한
ASML의 노광장비를 수입하지 못하도록 막았습니다. 일단, 중국의 추격을 늦추게 된것입니다.
또, 미국은 제조업 분야에 취약 하기 때문에, 자국에서 반도체(파운드리)를 생산 할 수 있도록,
인텔 및 삼성전자로 부터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 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뿐만 아니라, 전기차 밧데리도 마찬 가지 입니다.
독일은 미국과 달리, 자국에서 제조할 수 있도록, 산업용 로봇을 활용하여 인건비를 낮추는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런 성공적인 사례를 벤치 마킹하여, 미국도 자국 제조업을 육성 하고 있습니다.
이번일로 세계화로 분업화된 질서가 깨지면서, 미국 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동일한 상황에 직면 하고 있어,
유사한 형태로, 자국 산업에 대한 육성과 경제 동맹국을 다양화 해야 하는 상황 입니다.
최근 이와 같은 상황에 투자할 만한 곳으로 일본의 산업용 로봇 기업에 투자(주식)이야기가
나오기 시작 했습니다. 제조업은 가격 경쟁력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산업용 로봇 도입이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일본은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 하기위해 로봇 산업에 더욱더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일본도 중국처럼 한주를 살수 없기에, 아래 ETF를 소개해 드립니다.
- GlobalX Japan Robotics & AI ETF
산업용 로봇에서 높은 글로벌 시장점유율을 보이는 일본 로봇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자세한 투자 기업 및 정보는 아래 URL를 통하여 확인해 보세요. 아래 이미지는 주요 투자 기업 입니다.
https://www.indxx.com/indices/thematic/indxx-japan-robotics--ai-index-tr
일본 투자에 대한 두가지 의견이 있는것 같습니다.
첫번째, 일본은 글로벌화&디지털화 실패 또 고령화로 더이상 예전에 영광을 찾지 못할것이며, 서서히 침몰해 갈것이다 라는 의견 입니다.
두번째, 이제 일본 경제가 거품이 꺼지고, 이제 바닥을 찍고 올라 올것이다. 미국도 밀어 주고요. 저금리 정책과 엔저로 경제가 점진적으로 살아 날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첫번째 의견이 많은것 같습니다.
그러나, 엔저일때, 탄탄한 기업을 매수 하는 것은 괜찮다는 의견 입니다.
아래 차트를 봐도, 3중 바닥을 찍고, 정배열을 그려 나가는 매수 타이밍이라 봅니다.
'종목정보 및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 주가전망 (0) | 2022.09.14 |
---|---|
태조이방원 따라가지 말고, 리노공업 분할 매수 추천 (1) | 2022.09.05 |
단기, 장기 모두 좋은 신재생 에너지 관련주 (0) | 2022.08.08 |
지금은 20% 성장하는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적기 (0) | 2022.07.25 |
주식, 스태그플레이션 시그널 까지? (0) | 2022.06.07 |